특수교육

특수교육 발달장애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및 도서출판
교재 교구 및 소프트웨어 판매/유통
발달장애인의 교사와 부모를 위한 원격강의 서비스
발달장애를 이야기하다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가족들 그리고 관련분야 종사자들을 위한 좋은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페이스북 채널 페이지입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과 소통하고 지원하는데 필요한 핵심 원리와 기법 그리고 행동지원을 위한 워크샵이 아래와 같이 개최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워크샵은 줌 실시간 강의 또는 강의 녹화본 시청을 통한 수강 중 선...
30/10/2024

최중증 발달장애인과 소통하고 지원하는데 필요한 핵심 원리와 기법 그리고 행동지원을 위한 워크샵이 아래와 같이 개최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워크샵은 줌 실시간 강의 또는 강의 녹화본 시청을 통한 수강 중 선택 가능합니다.

■ 1차 김성남 11.23(토)
| 최중증 발달장애인 돌봄과 지원의 핵심 원리
■ 2차 윤송하 12.21(토)
| 최중증 발달장애인과 소통 - 집중적 상호작용 기법의 이해
■ 3차 정유진 1.11(토)
|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행동 중재와 지원

■ 줌 실시간 비대면 강의(선착순 40명): 매 차시별 10-15시(3회차 총 12시간, 중식시간 12-13시)

■ 녹화본 강의 수강: 줌 실시간 강의 종료 후 7일 이내 이메일로 공유. 수강기간 25. 1.30 까지

■ 수강료 12만원 (강의교재 파일 제공비 포함)

■ 신청 및 등록 사이트: bit.ly/최중증

해석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돌봄 종사자들은 그래야만 했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의 의사소통을 끊임없이 해석했습니다. 해석은 최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그들의 특성과 요구에 대한...
19/10/2024

해석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돌봄 종사자들은 그래야만 했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의 의사소통을 끊임없이 해석했습니다. 해석은 최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그들의 특성과 요구에 대한 지식을 쌓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지식은 보통 특정 소리나 표정으로 표현하는 돌봄 이용자의 주요 요구 사항에 대한 직접적인 해석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해석 능력은 돌봄 업무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위의 돌봄 종사자가 말했듯이 휴고는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그와 함께 ‘일하기 좋다’고 말합니다. 또한 자기 결정권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돌봄 종사자들은 개인의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평가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비공식적인 토론을 통해 돌봄을 전담하고 있는 직원들 사이에서 일상적으로 공유되었습니다. 그러나 돌봄 종사자의 설명은 단순히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나열하고 참가자가 이를 표현하는 방식에만 국한되지 않았습니다.

"돌봄 종사자는 '세바스찬은 다채로운 사람이고, 진짜 남자이며, 공놀이 외에도 수영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
- 세바스찬의 돌봄 담당자와의 대화 중

돌봄 종사자들은 연구 참여자의 성격을 사교적이고 ‘소탈’하거나 유머 감각이 좋다는 등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용어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설명은 최중증‧중복 발달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한 보다 완전한 그림을 구성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일체감을 강조합니다. 위의 돌봄 종사자는 세바스찬을 특히 남성성이 강한 남성을 가리키는 핀란드어 표현인 ‘아이야 äijä(우리말의 ‘상남자’)’로 묘사하면서 그를 특정 문화 범주에 속하며 문화적 지위를 인정받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바스찬과 그의 행동(공놀이에 관한 관심)은 문화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심지어 긍정적으로 이야기됩니다.

연구 참여자의 성격에 대한 풍부한 묘사는 이들을 정상화하고 최중증‧중복 발달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데 활용되었지만, 성격과 장애 사이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프리다에게는 강한 자신만의 개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프리다를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처럼 장애 뒤에 숨어 있는 개성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해요."
- 프리다의 돌봄 담당자와의 대화 중

프리다를 맡고 있는 담당자의 이 설명처럼, 돌봄 종사자들은 연구 참여자의 성격상의 중요한 특징을 장애와는 별개인 것, 즉 ‘장애 뒤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일관되게 설명했습니다. 대부분 성격과 장애를 구분하는 것은 암묵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돌봄 종사자들은 연구 참여자의 성격에 관해 이야기할 때는 장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휴고는 단순히 ‘뇌병변 장애와 인지 장애로 인해 지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아닌 ‘정말 느긋한 사람’으로 묘사될 수 있었습니다. 연구 참여자의 성격은 ‘배경에 있는(예, 배경에 유머 감각이 뛰어난 사람이 있어요)’ 어떤 것으로 묘사되었고, ‘발견해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성격과 장애 사이의 관계를 구성하지만(그리고 그 사람이 장애와 동일한 존재가 아님을), 장애 뒤에 있는 사람을 인식하는 데 필요한 노력, 기술 및 시간을 강조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한 돌봄 종사자가 말했듯이, 다양한 상황에 있는 사람을 ‘읽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이 필요합니다.

(중략)

‘장애 뒤에 성격이 있다’는 생각은 연구 참여자들의 심각한 장애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성격을 가릴 정도로 크게 느껴지는 것이기도 하다는 점을 암시하는 것입니다. 보통 사람들에게 이들이 가진 장애는 최중증‧중복 발달장애 당사자에게서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유일한 개성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기에 돌봄 종사자들이 연구 참여자의 개성을 묘사하고 강조하는 방식은 최중증‧중복 발달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개별적인 인격체로 인정하려는 인식론적, 윤리적 동기를 보여줍니다. 위의 돌봄 제공자는 프리다의 개성을 강조한 후 조심스럽게 ‘제 생각에는’이라는 말을 덧붙였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주관적인 해석의 결과라고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그들이 보기에 그것은 (그렇게 판단하는 것은) 옳은 일인 것입니다.

- 아무 일도 없는 삶 p.61-65

2024 소원연구소 기획 세미나[최중증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회복과 돌봄] 개최 안내- 일시: 2024.08.24(토) 9:30~12:40- 장소: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대회의실 - 참가신청: 선착순 80명- ...
01/08/2024

2024 소원연구소 기획 세미나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회복과 돌봄] 개최 안내

- 일시: 2024.08.24(토) 9:30~12:40
- 장소: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대회의실
- 참가신청: 선착순 80명
- 참가비 2만원 (참가자 전원 신간 도서 '아무 일도 없는 삶' 증정)

[발제 내용/발제자]

- 기조강연: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회복을 위한 돌봄과 지원
[김성남 소통과지원연구소 대표]
- 발제1.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활동 참여와 나이에 맞는 삶
[정유진 소통과지원연구소 행동분석전문가]
- 발제2.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의사소통
[ 윤송하 소통과지원연구소 특수교육 컨설턴트)

[토론자]

- 김진래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긍정적행동지원팀장
- 최수진 이음 최중증발달장애인통합돌봄서비스 센터장
- 이하나 문화공동체 히응 대표, 시민교육 활동가

자세한 사항 및 참가 신청:
bit.ly/발달장애돌봄

"아무 일도 없는 삶" 출간 기념 세미나'최중증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회복과 돌봄'- 일시: 2024.08.24(토) 9:30~12:40- 장소: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대회의실 - 참가신청: 선착순 80명- 참...
31/07/2024

"아무 일도 없는 삶" 출간 기념 세미나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회복과 돌봄'

- 일시: 2024.08.24(토) 9:30~12:40
- 장소: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대회의실
- 참가신청: 선착순 80명
- 참가비 2만원 (참가자 전원 신간 도서 '아무 일도 없는 삶' 증정)

발제 내용/발제자
- 기조강연: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회복을 위한 돌봄과 지원
(김성남 소통과지원연구소 대표)
- 발제1.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활동 참여와 나이에 맞는 삶
(정유진 소통과지원연구소 행동분석전문가)
- 발제2.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의사소통
(윤송하 소통과지원연구소 특수교육 컨설턴트)

토론자
- 김진래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긍정적행동지원팀장
- 최수진 이음 최중증발달장애인통합돌봄서비스 센터장
- 이하나 문화공동체 히응 대표, 시민교육 활동가

자세한 사항 및 참가 신청: bit.ly/발달장애돌봄

비장애인과 신체적 장애인의 삶의 격차보다 신체적 장애인과 발달장애인의 삶의 격차가 훨씬 크다는 사실과 그 격차를 줄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 지에 관해 우리 사회는 어떤 논의를 하고 있는가.특히, 경도나 중등도 발달장...
24/07/2024

비장애인과 신체적 장애인의 삶의 격차보다 신체적 장애인과 발달장애인의 삶의 격차가 훨씬 크다는 사실과 그 격차를 줄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 지에 관해 우리 사회는 어떤 논의를 하고 있는가.

특히, 경도나 중등도 발달장애가 아닌 중증 발달장애인을 교육이나 복지의 대상자로 대상화한 서비스들 외에 이러한 격차를 줄이고 발달장애인이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살도록 하기 위해 어떤 정책적 노력과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비장애인의 사회로부터 분리된 발달장애인들만을 위한 서비스와 제도에 속박된 채 살아가는 대다수의 발달장애인의 삶은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정상화될 수 없으며그런 의미에서 탈시설화는 곧 탈제도화이기도 하다.

현재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거주시설에서 살지 않는, 재가 중증 발달장애인들도 대부분 낮시간동안 거주시설에서 살아가는 발달장애인과 별반 다르지 않은 시설화된(즉, 제도화된 institutionalized) 삶을 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제도의 의해 규정되지 않는 삶을 살 방법을 마련하지 못하면 탈시설화는 성공할 수 없다. 복지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 비장애인들의 사회에 참여하며 개인적인 선택에 의한 삶을 살 수 없다면 궁극적으로 모든 발달장애인은 시설화된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소통과지원연구소장 김성남입니다.저희 연구소에서 전국의 발달장애인 지원 관련 기관에  『비차별적이고 선제적인 훈육과 행동 지원』  도서를 기증하려고 합니다. 전국에 장애인가족지원센터, ...
01/02/2024

!!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소통과지원연구소장 김성남입니다.

저희 연구소에서 전국의 발달장애인 지원 관련 기관에 『비차별적이고 선제적인 훈육과 행동 지원』 도서를 기증하려고 합니다.

전국에 장애인가족지원센터,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 총 150여개 소가 있습니다. 각 기관에 한 권씩 보내드리고자 합니다.

배송비는 저희연구소가 전액 부담할 예정이고, 후원해주신 금액이 비용을 초과할 경우 남는 금액은 특수학교에 도서를 기증하는데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후원 금액은 1만원도 좋고 10만원도 좋고 그 이상도 좋습니다.

유의사항: 저희는 비영리단체가 아닙니다. 기부금영수증발급은 불가하고 현금영수증(소득증빙, 지출증빙) 발급은 가능합니다.

형편이 되시는 선에서 자유롭게 후원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따로 후원신청 사이트나 리워드는 없습니다. 목표금액이 미달되어도 부족한 부분은 저희 연구소가 추가로 채워서 후원할 예정이오니 양해 바랍니다.

후원계좌: 카카오뱅크 3333-27-9521723 김성남(소통과지원연구소)

방학 특강(발달장애인과 교감하는 좋은 상호작용) 관련하여 공문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바랍니다.공문 및 첨부문서 다운받기 >> https://drive.google.com/file/d/137s_ub5nei6...
10/01/2024

방학 특강(발달장애인과 교감하는 좋은 상호작용) 관련하여 공문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바랍니다.

공문 및 첨부문서 다운받기 >> https://drive.google.com/file/d/137s_ub5nei6nnbEGVdP_I1v1urMVxQTW/view?usp=sharing

수강신청 >> bit.ly/좋은상호작용
- 실시간 줌은 마감, 온라인 영상 강의(녹화 편집본) 수강 접수중

2022년 소통과지원 연구소 월세미나"아이를 위한 정신의학"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아이들을 걱정하고 계시는 모든 부모님들과 선생님들에게 도움이 될 충실한 내용으로 꽉 찬 교재를 특수교육학 박사인 소통과지원연구소 연구원...
03/08/2022

2022년 소통과지원 연구소 월세미나

"아이를 위한 정신의학"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아이들을 걱정하고 계시는 모든 부모님들과 선생님들에게 도움이 될 충실한 내용으로 꽉 찬 교재를 특수교육학 박사인 소통과지원연구소 연구원 윤송하 선생님의 강의로 쉽게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발달장애를 가진 아이들과 성인들을 위해 일하는 분들에게도 꼭 필요한 필수적인 지식과 좋은 관점으로 발달과 관계와 장애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세미나입니다.

9월 6일 화요일 저녁 시작으로
매월 둘째, 넷째주 화요일 저녁 7~9시
ZOOM 실시간 비대면으로 진행됩니다.
총 8회기의 세미나입니다.

실시간 참여가 어려우신 분들은 녹화본으로 편한 시간에 수강도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웹자보를 확인하시거나 강사이신 윤송하 박사님에게 직접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윤송하(010-9019-9444)

참고로 소통과지원연구소장 김성남 박사도 어드바이저로 세미나에 함께 참여해주십니다.

아래 신청링크를 통해 신청해 주시면 됩니다.

https://forms.gle/VME2n4pECeXPSGB98

#소통과지원연구소2022월례세미나
#아이를위한정신의학
#아이의마음에대한심도있는이해

23/04/2022

강의와 질의응답을 반반씩 섞은
벙개특강이 시작됩니다 !!!!

각 주제별 강사와 일정 확인하시고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중복신청 가능)

*답변과 토론시간은 소통과지원연구소의 세 분 선생님 김성남, 윤송하, 정유진이 모두 함께 참여하오니 가급적 모든 주제를 들으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주최 : 소통과지원 연구소
* 형식 : 하이브리드 (대면/비대면 동시진행)
* 진행 : 50분 강의 + 50분 자유로운 질의응답과 토론
* 신청 : 각 주제별 2만원 (중복신청 가능)

=== 주제 1
- "장애아동 사회적 기술 끌어 올리기"
- 5/10(화) 오전 10-12시
- 50분 강사 : 윤송하 (특수교육학 박사)
- 50분 QnA와 토론 : 김성남 정유진 윤송하

=== 주제 2
- "어려운행동중재 세부전략"
- 5/18(수) 저녁 7-9시
- 50분 강사 : 정유진 (국제행동분석전문가)
- 50분 QnA와 토론 : 김성남 정유진 윤송하

=== 주제 3
- "최중증발달장애인 지원"
- 6/11(토) 오전 10-12시
- 50분 강사 : 김성남 (특수교육학 박사)
- 50분 QnA와 토론 : 김성남 정유진 윤송하

=== 주제 4
- "발달장애와 정신과 약물"
- 7/2(토) 오전 10-12시
- 50분 강사 : 장창현 (정신과 전문의)
- 50분 QnA와 토론 : 김성남 정유진 윤송하

※※ 신청링크 ※※
https://forms.gle/XFsxdXw8QMVA9AKn8

Address

Seongnam
13631

Opening Hours

Monday 09:00 - 17:00
Tuesday 09:00 - 17:00
Wednesday 09:00 - 17:00
Thursday 09:00 - 17:00
Friday 09:00 - 17:00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특수교육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Practice

Send a message to 특수교육:

Share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LinkedIn
Share on Pinterest Share on Reddit Share via Email
Share on WhatsApp Share on Instagram Share o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