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Convergence & Social Psychiatry Lab.

Digital Convergence & Social Psychiatry Lab.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Digital Convergence & Social Psychiatry Lab.

공황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AI 학습용 디지털 표현형 데이터 구축 연구연구대상자 모집을 공고합니다. (현재는 아이폰만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는 곧 시작될 예정이며, 그 때 재공고하겠습니다!)(소정의 참여비를 지...
30/10/2024

공황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AI 학습용 디지털 표현형 데이터 구축 연구
연구대상자 모집을 공고합니다. (현재는 아이폰만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는 곧 시작될 예정이며, 그 때 재공고하겠습니다!)
(소정의 참여비를 지급해드립니다!)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익일 공황발작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AI 학습용 디지털 표현형*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으로 귀하께서 사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 앱으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이에 활용하는 연구입니다.

▶ 연구 참여 대상, 기간
-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
1. 공황장애로 진단 받았고, 최근 1개월 이내에 최소 1회 이상의 공황 증상을 경험한 자
2. 한국판 자기보고형 공황장애 심각도 척도(PDSS-SR) 8점 이상에 해당하는 자
3. 만 19세~70세 이하의 성인
제외 기준:
1. 정신지체나 기질성 뇌손상의 증거가 있는 경우
2. 조현병 진단을 받은 자
3. 스마트폰이 없는 자
중도탈락 기준:
1. 연구 참여 중 동의를 철회한 자
2. 그 밖에 연구자의 판단에 의해 연구 중단이 필요한 자 (예. 불성실한 참여 등)
- 연구 기간: 연구 시작 후 4주간 진행
※ 연구 관련 직접 설명을 듣기 원하시는 경우, 대면으로 연구 참여 가능(대면 연구 참여 시 1회 방문 및 약 30분 이내 소요).
※ 참여 가능 기종: 아이폰 12 이상(iOS 16.4이상), 애플워치 6 이상(SE, SE2 포함/watchOS 7.0 이상)

▶ 연구 참여 내용
- 연구 어플 기반 설문 기록: 매일∙월간설문 및 생활습관, 공황 및 복약 기록 등을 입력 (매일 약 3분, 월간 약 60분 소요)
- 데이터 수집 권한 허용: 연구용 어플 설치 후 데이터 수집(건강, 활동 등) 권한 허용
- 애플워치 참여자의 경우, 데이터 수집을 위해 수면시간을 포함하여 충전시간 외 항상 착용

▶ 연구 신청 과정 및 방법
Step1
연구대상자 Tally 설문지(링크제공) 작성
Tally 내 주요 작성 정보: 연구 대상자 스크리닝/ 워치 보유, 미보유, 대여 희망 참여 구분 등
Step2
연구대상자 Tally 작성 후 카카오톡 채널 통해 성함 남김
Step3
고려대학교 연구원이 Tally 및 채널 성함 확인
Step4
워치 대여 혹은 직접 연구원 대면을 원하는 연구대상자는 카카오 채널 통해 일정 조율하여 고대 안암병원에서 워치 대여(총 2회 방문) 및 연구 등록
Step5
연구용 어플 설치 및 4주간 연구 참여**
Step6
사례비 지급: 개인정보동의서 (픽셀패닉 앱 내 작성), 통장사본, 신분증 사본을 카톡 채널로 전송
**연구 대상자 구분에 따라 어플 내 회원코드를 각각 부여 하므로 연구용 어플은 미리 설치할 수 없으며, 연구원 안내에 따라 앱을 설치 하고 회원코드를 입력하여 회원가입 후 연구가 진행 됩니다.
- 연구참여 링크를 통해 (1) Tally 설문 작성 후 (2)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본인 성함을 남겨주시면 연락 드리겠습니다.
(1️) Tally: https://tally.so/r/wADGZz
(2) 카카오톡 채널: http://pf.kakao.com/_rxaggG

▶ 연구 참여 문의
진행 과정에서 참여자가 연구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카카오톡 채널 문의: “고려대 픽셀패닉 연구” 검색
- 메일 문의: ksm0617@korea.ac.kr 또는 leeseulki625@gmail.com

공황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AI 학습용 디지털 표현형 데이터 구축 연구연구대상자 모집을 공고합니다. (현재는 아이폰만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는 곧 시작될 예정이며, 그 때 재공고하겠습니다!)(소정의 참여비를 지...
22/10/2024

공황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AI 학습용 디지털 표현형 데이터 구축 연구
연구대상자 모집을 공고합니다. (현재는 아이폰만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는 곧 시작될 예정이며, 그 때 재공고하겠습니다!)
(소정의 참여비를 지급해드립니다!)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익일 공황발작 예측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AI 학습용 디지털 표현형*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으로 귀하께서 사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 앱으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이에 활용하는 연구입니다.

▶ 연구 참여 대상, 기간

-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
1. 공황장애로 진단 받았고, 최근 1개월 이내에 최소 1회 이상의 공황 증상을 경험한 자
2. 한국판 자기보고형 공황장애 심각도 척도(PDSS-SR) 8점 이상에 해당하는 자
3. 만 19세~70세 이하의 성인

제외 기준:
1. 정신지체나 기질성 뇌손상의 증거가 있는 경우
2. 조현병 진단을 받은 자
3. 스마트폰이 없는 자

중도탈락 기준:
1. 연구 참여 중 동의를 철회한 자
2. 그 밖에 연구자의 판단에 의해 연구 중단이 필요한 자 (예. 불성실한 참여 등)

- 연구 기간: 연구 시작 후 4주간 진행

※ 연구 관련 직접 설명을 듣기 원하시는 경우, 대면으로 연구 참여 가능(대면 연구 참여 시 1회 방문 및 약 30분 이내 소요).
※ 참여 가능 기종: 아이폰 12 이상(iOS 16.4이상), 애플워치 6 이상(SE, SE2 포함/watchOS 7.0 이상)

▶ 연구 참여 내용
- 연구 어플 기반 설문 기록: 매일∙월간설문 및 생활습관, 공황 및 복약 기록 등을 입력 (매일 약 3분, 월간 약 60분 소요)
- 데이터 수집 권한 허용: 연구용 어플 설치 후 데이터 수집(건강, 활동 등) 권한 허용
- 애플워치 참여자의 경우, 데이터 수집을 위해 수면시간을 포함하여 충전시간 외 항상 착용

▶ 연구 신청 과정 및 방법
Step1
연구대상자 Tally 설문지(링크제공) 작성
Tally 내 주요 작성 정보: 연구 대상자 스크리닝/ 워치 보유, 미보유, 대여 희망 참여 구분 등

Step2
연구대상자 Tally 작성 후 카카오톡 채널 통해 성함 남김

Step3
고려대학교 연구원이 Tally 및 채널 성함 확인

Step4
워치 대여 혹은 직접 연구원 대면을 원하는 연구대상자는 카카오 채널 통해 일정 조율하여 고대 안암병원에서 워치 대여(총 2회 방문) 및 연구 등록

Step5
연구용 어플 설치 및 4주간 연구 참여**

Step6
사례비 지급: 개인정보동의서 (픽셀패닉 앱 내 작성), 통장사본, 신분증 사본을 카톡 채널로 전송

**연구 대상자 구분에 따라 어플 내 회원코드를 각각 부여 하므로 연구용 어플은 미리 설치할 수 없으며, 연구원 안내에 따라 앱을 설치 하고 회원코드를 입력하여 회원가입 후 연구가 진행 됩니다.

- 연구참여 링크를 통해 (1) Tally 설문 작성 후 (2)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본인 성함을 남겨주시면 연락 드리겠습니다.
(1️) Tally: https://tally.so/r/wADGZz
(2) 카카오톡 채널: http://pf.kakao.com/_rxaggG

▶ 연구 참여 문의
진행 과정에서 참여자가 연구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카카오톡 채널 문의: “고려대 픽셀패닉 연구” 검색
- 메일 문의: ksm0617@korea.ac.kr 또는 leeseulki625@gmail.com

[고대안암병원] 수면 딥 페노타이핑 연구를 참여해주실 연구 참여자(불면증상군)를 모집합니다.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연구책임자 :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에서 진행하는 본 연구는 정상수면군부터 불면증상군까지의 연구대상...
01/02/2024

[고대안암병원] 수면 딥 페노타이핑 연구를 참여해주실 연구 참여자(불면증상군)를 모집합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연구책임자 :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에서 진행하는 본 연구는 정상수면군부터 불면증상군까지의 연구대상자의 수면 관련 임상, 유전체, 뇌 활성도, 디지털 표현형을 통합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습니다.

연구는 총 4주 간 진행되며, 연구 기간 동안 총 2회 병원에 방문하여 어플 설치 및 전두엽 활성도 검사(fNIRS),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을 시행하게 됩니다 (1차 방문시 약 1시간 30분~2시간, 2차 방문시 약 15~20분 소요).
연구에 참여하시는 동안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계속 착용하셔야 하며(수면 중에도), 어플을 이용하여 매일 그 날의 수면 및 일상 정보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매일 약 1분 소요). 연구를 모두 완료하실 경우, 총 13만 6000원의 보상이 지급됩니다. 중도 탈락할 경우 참여율에 따라 보상이 차등 지급됩니다.
진행 과정에서 참여자가 연구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이번 연구는 불면증상군을 대상으로 시행되므로,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불면증 자가진단을 시행하신 후 불면증상군(15점 이상) 기준이 충족되실 경우
연구참여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불면증 자가증단 링크 : https://goodsleep.or.kr/how_2/index.php?hca=1
연구참여 링크 : https://docs.google.com/forms/d/1uFyCzzlFaCKMUJwmPemdtvwDEVQpTL_H3J5oQyU1utA/edit

문의
- 이메일 : illuminity@korea.ac.kr

Background:During the COVID-19 pandemic, urban inhabitants faced significant challenges in maintaining connections with ...
23/01/2024

Backgrou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rban inhabitants faced significant challenges in maintaining connections with nature, adhering to nutritional guidelines, and managing mental well-being.

Objective:
Recognizing the urgent need for innovative approach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otential benefits of a specific digital intervention, the rice-farming simulation game Sakuna: Of Rice and Ruin, for nature relatedness, nutritional behavi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A total of 66 adults without any pri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residing in an urban area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through block randomization: the immediate intervention group (IIG; 34/66, 52%) and the waitlist group (32/66, 48%). Participants in the IIG were instructed to play the game for at least 4 days per week for 3 weeks, with each session lasting from 30 minutes to 3 hours. Assessments were performed at baseline, week 1, and week 3. The Nature Relatedness Scale (NR) and Nutrition Quotient Scale were used to evaluate nature relatedness and nutritional state, respectively. Furthermore, psychological state was assessed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ief Version (WHOQOL-BREF), 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Toronto Alexithymia Scal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evised, and Korean Resilience Quotient.

Results:
This study’s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time interactions between the IIG and waitlist group for both the total NR score (P=.001) and the score of the self subdomain of NR (P.05).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rice-farming game intervention might have positive effects on nature relatedness, nature-friendly dietary behaviors, quality of life, anxiety,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silience among urban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impact of pronature games in confined urban environments provides valuable evidence of how digital technologies can be used to enhance urban residents’ affinity for natur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understanding can be extended in the future to other digital platforms, such as metaverses.

Backgrou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rban inhabitants faced significant challenges in maintaining connections with nature, adhering to nutritional guidelines, and managing mental well-being. Objective: Recognizing the urgent need for innovative approach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

A   model with wearable data from ABCD study predicts   & sleep problems in children, offering potential for early detec...
18/03/2023

A model with wearable data from ABCD study predicts & sleep problems in children, offering potential for early detection & screening via digital phenotypes. A step towards innovative evaluation methods for children's mental health. https://ja.ma/3YYvYhD

This diagnostic study develops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data from wearable digital devices to detec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sleep problems in children.

“[Prolonged grief disorder] is a serious mental disorder that puts the patient at risk for intense distress, poor physic...
03/02/2022

“[Prolonged grief disorder] is a serious mental disorder that puts the patient at risk for intense distress, poor physical health, shortened life expectancy, and suicide,” the authors wrote.

“The DSM-5-TR criteria for [prolonged grief disorder] require that distressing symptoms of grief continue for at least 12 months following the loss of a close attachment and that the grief response is characterized by intense longing/yearning for the deceased person and/or preoccupation with thoughts and memories of the lost person to a clinically significant (i.e., impairing) degree, nearly every day for at least the past month,” the authors continued. Patients must also experience symptoms such as feeling as though a part of oneself has died, intense emotional pain, emotional numbness, or feeling that life is meaningless because of the death.

The PG-13 Revised scale—a 13-item questionnaire that asks patients about the length of time since their loved one’s death and their symptoms of grief—can help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grief. A score of 30 or higher on the PG-13 Revised scale is consistent with a prolonged grief disorder diagnosis and may indicate treatment is needed.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patients with prolonged grief disorder may respond better to targeted therapy than to other therapies used to treat major depression (including citalopram and interpersonal therapy). Among 641 participants experiencing complicated grief, 71% of those treated with prolonged grief disorder therapy reported improvement on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compared with 44% of those who received either interpersonal psychotherapy or citalopram, the authors wrote.

Prolonged grief disorder therapy works under the central premise that, for patients with prolonged grief disorder, the coping responses typical of early grief—such as self-blame, avoidance, and anger—derail the naturally adaptive process of transforming and integrating grief, according to the authors. Prolonged grief disorder therapy helps the patient learn to accept his or her new reality and restore a sense of autonomy and competence. It includes seven themes, “or healing milestones,” the authors wrote, that are introduced sequentiall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grief
Managing grief emotions
Seeing a promising future
Strengthening relationships
Narrating the story of death
Living with reminders
Connecting with memories

The addition of the diagnostic category prolonged grief disorder to DSM-5-TR is timely and important given the COVID-19 pandemic’s enormou...

Key PointsQuestion  Is community-level social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reduced incid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
28/01/2022

Key Points
Question Is community-level social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reduced incid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mong adults in high-risk settings?

Findings In this cohort study of 1917 adults in 149 high-poverty neighborhoods that have recently experienced armed conflict, living in neighborhoods with available social programs was associated with subsequent reduced incidence of MDD.

Meaning Because local social support infrastructure may reduce incidence of adult-onset MDD in settings of high exposure to potentially traumatic experiences, such infrastructure should be prioritized for population-level interventions.

This cohort study examines whether living in a neighborhood with social support groups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mong young adults in high-stress settings.

At-home Diagnostics and Diagnostic ExcellenceDevices vs General Wellness Products
21/01/2022

At-home Diagnostics and Diagnostic Excellence

Devices vs General Wellness Products

This Viewpoint discusses the definitions of medical devices and low-risk general wellness products and examines the difficult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ypes of products pose for regulation, consumer understanding, physician use and interpretation, privacy, reimbursement, and equity.

Longitudinal Changes in Sleep, Biological Rhythms, and Light Exposure From Late Pregnancy to Postpartum and Their Impact...
20/01/2022

Longitudinal Changes in Sleep, Biological Rhythms, and Light Exposure From Late Pregnancy to Postpartum and Their Impact on Peripartum Mood and Anxiety

ABSTRACT
Objective: In one of the largest and most comprehensive studies investigating the link between objective parameters of sleep and biological rhythms with peripartum mood and anxiety to date,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trajectory of subjective and objective sleep and biological rhythms, levels of melatonin, and light exposure from late pregnancy to postpartu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cross the peripartum period.

Methods: One hundred women were assessed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of whom 73 returned for follow-ups at 1–3 weeks and 6–12 weeks postpartum.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n outpatient clinic and from the community from November 2015 to May 2018.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sleep and biological rhythms were obtained, including 2 weeks of actigraphy at each visit. Questionnaires validated in the peripartum period were used to assess mood and anxiety.

Results: Discrete patterns of longitudinal changes in sleep and biological rhythm variables were observed, such as fewer awakenings (F = 23.46, P < .001) and increased mean nighttime activity (F = 55.41, P < .001) during postpartum compared to late pregnancy. Specific longitudinal changes in biological rhythm parameters, most notably circadian quotient, activity during rest at night, and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from rest to activity at night, were most strongly linked to higher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cross the peripartum period.

Conclusions: Biological rhythm variables beyond sleep were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severity of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cross the peripartum period.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iological rhythms and activity beyond sleep to peripartum mood and anxiety.

The impact of biological rhythms on mood or anxiety during the peripartum period is largely unknown.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sleep and biological rhythms, melatonin levels, and light exposure from late pregnancy to 12 weeks postpartum.

Address

Seoul
02841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Digital Convergence & Social Psychiatry Lab.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Practice

Send a message to Digital Convergence & Social Psychiatry Lab.:

Share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LinkedIn
Share on Pinterest Share on Reddit Share via Email
Share on WhatsApp Share on Instagram Share o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