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사)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사)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는 전국 26만 명뇌병변장애인들의 인권과 삶?

장애가 다름과 빈곤의 이유가 아니라 당당하고 평등하게 사는 세상의 기준이 되기까지 운동의 현장에 서게되어 너무도 기쁩니다.

한국사회가 아직도 건강하고, 아름답고, 빨리빨리, 능력과 배경에 의한 무한 경쟁을 추구하는 점에선 예전과 별반 달라짐이 없습니다. 오히려 약간의 외적압박은 그간 권력과 이득에 취하여 나약해진 우리를 반성하게 하여줄 것입니다. 아직 우리사회는 ‘장애’가 차별과 소외와 낙인 그리고 절망과 동정의 인식 틀 안에 갇혀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린 이러한 틀과 벽을 허물고 간격을 좁히려는 노력을 더욱 강화하여야 할 것입니다.

현재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가 20년 전 ‘뇌성마비 연구회 바롬’에서 출발하였지만, 뇌병변장애인들이 그 이전부터 이 땅에서 존재하였던 것처럼 오늘 우리 모두를 하나의 존재와 식구로서 인정하고 받아들임을 누구도 거부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이제 협회는 높은 선천적 발병률과 급격한 후천적 발생률이라는 ‘더블 크라운’의 현실을 끌어안으려 합니다. 그래서 우리를 사랑하고 지지해 주는 하늘과 땅 아래 모든 이들과 함께 고민하고 행동하면서 남겨지고 미리 주어진 과제를 풀어가고자 합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첫째, 새로운 천년, 새로운 세대에 부응하여 협회의 조직을 확대 개편하여 명실상부한 뇌성마비·뇌졸중·외상성뇌손상의 구성원들을 대표하려 합니다. 또한 가족들과 전문가그룹 그리고 자원봉사자와 후원자의 지원그룹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공동의 목적을 이루고자 합니다.

둘째, 협회의 장점과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원활한 소통구조와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의사결정과정, 회원들의 다양한 참여구조를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그리하여 늦은 출발(06년 법인출범)과 급격한 회원증가(00년 이후 매년 평균 2만7천명)에 적극 부응하여 장애운동의 선두에서 장애 없는 복지세상을 만들어갈 것입니다. 이것은 한국사회 공동체 모두가 평등하고,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시민사회운동에도 우리의 역할을 다할 것임을 뜻하는 것입니다.

셋째, 협회는 타 장애범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삶의 현실과 부족한 능력을 극복하고 전진하기 위하여 정책과 프로그램개발, 법과 제도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입법운동과 사회연대활동을 전문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입니다. 또한 재정적 능력을 점차 확대해 나감으로서 우리의 주장이 공허한 약속이 되지 않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기반을 닦을 것입니다.

📢 “중증장애인은노동권조차 투쟁으로 얻어야 합니다.”👨‍🦽 조재범 발표 | 2025년 6월조재범 사무국장은 대학을 졸업하고, 어학연수까지 다녀온 후취업의 벽 앞에서 '중증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수차례 좌절을 겪었습...
23/09/2025

📢 “중증장애인은
노동권조차 투쟁으로 얻어야 합니다.”

👨‍🦽 조재범 발표 | 2025년 6월
조재범 사무국장은 대학을 졸업하고, 어학연수까지 다녀온 후
취업의 벽 앞에서 '중증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수차례 좌절을 겪었습니다.
그러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일하게 되면서
비로소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시작했습니다.

📌 조재범은 말합니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생기기 전,
우리는 사회와 가족 모두에게 짐 같은 존재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사회 속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살아갑니다.”

🛠️ 그러나 노동권은 여전히 보장되지 않았습니다.

2020년, 서울형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창출

2023년, 정권 교체로 400명 해고

현재, 노동권 보장을 위한 재투쟁 중

📣 조재범 스피커의 메시지
“정부의 장애인 일자리 정책은
중증장애인 중심으로 세분화되고 다양화되어야 합니다.
노동권은 생존의 문제이자, 인간의 권리입니다.”

📽️ 발표 영상 보기
🔗 https://youtu.be/hG4UPlK3how?si=y3nfDtEZgKyoLbwI

#조재범 #중증장애인노동권
#서울형공공일자리 #권리중심일자리
#자립생활운동 #장애인고용차별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실태조사 없는 정책은현실을 외면하는 대책일 뿐입니다.”👤 최상태 발표 | 2025년 6월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경북지회장 최상태는경북 지역의 고령 뇌병변장애인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을 강조했습니다.“경북...
23/09/2025

📢 “실태조사 없는 정책은
현실을 외면하는 대책일 뿐입니다.”

👤 최상태 발표 | 2025년 6월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경북지회장 최상태는
경북 지역의 고령 뇌병변장애인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을 강조했습니다.

“경북에는 뇌졸중으로 중도에 장애를 입은
고령의 뇌병변장애인이 많습니다.
하지만 실태조사는 2015년 단 한 번뿐.
이후로는 지역 장애인의 현실을 반영한 정책 논의조차 없습니다.”

📊 2024년 기준,
경북 뇌병변장애인의 33%는 65세 이상.
장애와 노화가 겹친 이들은

일할 기회가 거의 없고

외출도 어렵고

고립 속에 우울감을 겪습니다.

📌 “실효성 있는 정책은 꾸준한 실태조사에서 시작됩니다.
지역사회와 정부가 이들의 삶을 함께 짊어져야 합니다.”

📽️ 발표 영상 보기
🔗 https://youtu.be/O1gEZvYLN4Q?si=o69aqGyi1OqzeBSE

#최상태 #경북뇌병변장애인
#노령장애인 #실태조사 #장애인정책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2025 뇌병변 옥토페스타 🎉WCPD & AAC의 달 기념🗓 10.24(금) 13시📍 여의도 글래드호텔 블룸홀🧠 전세계 뇌병변장애인의 삶과 권리를 함께 이야기하는 날!📚 북토크『장애학의 시선』 - 김도현 (노들장...
22/09/2025

🎉 2025 뇌병변 옥토페스타 🎉
WCPD & AAC의 달 기념
🗓 10.24(금) 13시
📍 여의도 글래드호텔 블룸홀
🧠 전세계 뇌병변장애인의 삶과 권리를 함께 이야기하는 날!
📚 북토크
『장애학의 시선』 -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 기념식
복지부장관 표창 & 장학금 수여
🎶 문화공연
• 미라클보이스앙상블
• 노래로 물들다
📲 참여신청은 QR코드로!
문의: 070-4334-1813,0050 / kshb@kshb.or.kr
#옥토페스타 #뇌병변 #장애인인권 #10월행사

뇌병변 장애인의 고용 현실과 도전👋 저는 중증 뇌병변 장애인 최민지입니다.💼 LH 인천지역본부 인턴 8개월 근무 경험 있어요.📉 하지만 일반 기업 취업은 어려워요.❌ 뇌병변 장애에 대한 편견과 오해 때문입니다.🧠 재...
22/09/2025

뇌병변 장애인의 고용 현실과 도전
👋 저는 중증 뇌병변 장애인 최민지입니다.
💼 LH 인천지역본부 인턴 8개월 근무 경험 있어요.
📉 하지만 일반 기업 취업은 어려워요.
❌ 뇌병변 장애에 대한 편견과 오해 때문입니다.
🧠 재활 통해 능력 갖춘 장애인 많아요!
📚 사회복지사 공부와 동료 상담가 교육 준비 중입니다.
🌈 장애인에게 희망을 주고 싶어요.
⏰ 준비하는 자에게 기회가 옵니다!

👉 장애인 취업 도전과 현실, 이 영상이 도움 될 거예요!
🎬 https://youtu.be/6a-0ubNPodw?si=5Oce5HWSqebSvgL1

#장애인취업 #뇌병변장애 #사회복지사 #도전과희망

📢 “내가 선택한 길을,내가 살아낼 수 있게 해주세요.”– 신선해 발표 | 2025년 6월👩‍🦽 신선해 스피커는 뇌병변장애와 언어장애가 있습니다.그녀는 지금 법무사 시험을 준비 중입니다.“처음엔 법을 좋아했어요.낯선...
22/09/2025

📢 “내가 선택한 길을,
내가 살아낼 수 있게 해주세요.”
– 신선해 발표 | 2025년 6월

👩‍🦽 신선해 스피커는 뇌병변장애와 언어장애가 있습니다.
그녀는 지금 법무사 시험을 준비 중입니다.

“처음엔 법을 좋아했어요.
낯선 법률용어가 재미있었죠.
장애 특성상 소송보다 문서 중심의 법무사가
저에겐 더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시험부터 시작됩니다.

📝 장애인은 법무사 시험 응시 자체가 쉽지 않습니다.

-시험시간 연장

-집중력 저하를 고려한 충분한 쉬는 시간

-논술형 시험의 보조기기 허용

-시험장 내 휠체어 접근성

-지원사 동반 허용

-필담 면접 방식 도입 등…

이 모든 것이 보장되지 않으면,
장애인은 전문직 진입의 ‘기회’조차 얻지 못합니다.

📛 더 큰 문제는 합격 이후입니다.

중증장애인 근로자에게는 근로지원인을 배치하지만

자영업자 장애인에게는 아무런 노동 지원도 없습니다.

📌 법무사는 대부분 개인 창업으로 일하는 직종입니다.
그런데도 자영업자는 제도 바깥에 있습니다.

🗣️ 신선해 스피커의 메시지

“내가 선택한 삶을 내가 살아내기 위해서는
‘기회의 평등’이 아닌 ‘조건의 평등’이 필요합니다.”

“장애인은 선택조차 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국가가 삶의 책임을 함께 나누어야 합니다.”

📽️ 발표 영상 보기
🔗 https://youtu.be/EwTAH1V1u2Y?si=pdpTFrGR8S1KSuR3

#신선해 #장애인과법률전문직
#장애인자영업자 #근로지원인제도
#시험접근권 #보조기기허용 #장애인권리보장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시설 말고, 나도 사람답게 나이 들고 싶습니다.”– 박명용 발표 | 2025년 6월🧓 박명용 스피커는 말합니다.“나는 1985년부터 9년간 시설에 살았습니다.그곳은 꿈도, 희망도 없는 곳이었습니다.시설을 나와 ...
22/09/2025

📢 “시설 말고, 나도 사람답게 나이 들고 싶습니다.”
– 박명용 발표 | 2025년 6월

🧓 박명용 스피커는 말합니다.

“나는 1985년부터 9년간 시설에 살았습니다.
그곳은 꿈도, 희망도 없는 곳이었습니다.
시설을 나와 혼자 살기 시작했을 때,
모든 날이 도전이었지만 자유로웠습니다.”

이제 그는 다시 한 번 고민합니다.
“이제 우리는 늙어갈 준비를 해야 하는데,
그 노년은 어디서, 어떻게 가능할까?”

🏥 요양병원은 두렵습니다.
📛 시설은 다시 가고 싶지 않습니다.
🚫 지역사회 안에서 케어받을 방법은 부족합니다.

그는 묻습니다:
"왜 장애인의 노년은 여전히 '시설'뿐인가요?"

📌 박명용 스피커의 요구

1️⃣ 노인을 위한 시설 확대 대신,
2️⃣ 지역사회 안에서 의료·케어가 가능한 대안 마련
3️⃣ 노년의 삶의 방식에 대한 선택권 보장
4️⃣ 공급자 중심이 아닌, 이용자 중심의 정책 전환

🗳️ 새 정부는 약속을 지켜야 합니다.
❗ 선거 때만 나오는 복지 공약이 아닌,
❗ 일관성 있는 장기 정책 로드맵이 필요합니다.

“장애인도 사람입니다.
우리는 죽음을 기다리며 살고 싶지 않습니다.
살아 있는 날까지,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살고 싶습니다.”

👇 영상으로 발표를 직접 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youtu.be/DNEwUu95H2o?si=UeTtVGCzKqgRBJCM

#박명용 #노년의삶 #장애인노후
#자립생활 #시설이아닌삶
#새정부에바란다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지역사회돌봄 #고령장애인

📢 "낯선 목소리로 말하는 또 다른 가능성"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김시내 발표 (2025년 6월)“제 목소리는 낯설게 들릴 수 있지만,그 안에 담긴 이야기와 가능성은 결코 낯설지 않습니다.”김시내 스...
22/09/2025

📢 "낯선 목소리로 말하는 또 다른 가능성"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김시내 발표 (2025년 6월)

“제 목소리는 낯설게 들릴 수 있지만,
그 안에 담긴 이야기와 가능성은 결코 낯설지 않습니다.”

김시내 스피커는 **보완대체의사소통기기(AAC)**를 통해 말합니다.
그녀는 목소리의 속도보다 중요한 것은
그 안에 담긴 경험, 지식, 삶의 관점이라고 말합니다.

💬 “우리는 얼마나 타인의 말이 ‘유창한지’로 평가하고 있지는 않나요?”
💬 “말이 어눌하거나 느리다는 이유로 기회를 박탈당하는 현실은,
장애인이 아니라 제도가 만든 차별입니다.”

🔎 김시내 스피커가 제안한 변화 방향

1️⃣ AAC 등 다양한 표현 방식을 제도적으로 보장
2️⃣ 의사소통 속도나 방식이 차별로 이어지지 않도록 법적 기준 마련
3️⃣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리더십을 키우는 실질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 필요

🎯 표현 방식은 다양합니다.
우리는 그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 안에 담긴 가능성을 보아야 합니다.

📍김시내 스피커는 말합니다:
“저는 언젠가 한국 최초의 언어장애 교수로서
당당히 강단에 서는 꿈을 꿉니다.
그리고 그 꿈은, 저 혼자만의 싸움이 아니라
이 사회 전체의 질문이어야 합니다.”

👇 직접 보고, 함께 생각해 주세요.

🎥 발표 영상 보기
🔗 https://youtu.be/yv_lsN1bUwg?si=HU5bGOkefKV8IZ6J

#김시내 #보완대체의사소통
#표현권리 #언어장애 #장애인권리
#새정부에바란다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차별없는사회 #당사자목소리

📣 [스피커 이야기 – 김고현]🎤 2025년 6월, 당사자의 생생한 목소리“내 장애에 맞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하루에 화장실 한 번 가기 위해 기다립니다.”부모님과 떨어져 독립했지만,활동지원 시간이 너무 부족해물...
22/09/2025

📣 [스피커 이야기 – 김고현]
🎤 2025년 6월, 당사자의 생생한 목소리
“내 장애에 맞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하루에 화장실 한 번 가기 위해 기다립니다.”
부모님과 떨어져 독립했지만,
활동지원 시간이 너무 부족해
물을 마음껏 마시는 것조차 조심스러운 현실.
그저 살아남는 삶이 아닌, 인간다운 삶이 필요합니다.

👨‍👩‍👦 “부모님의 재산 때문에 기초생활수급자가 될 수 없어요.”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인해
진정한 독립도, 정부의 지원도 막혀 있습니다.
부모님의 노후는 점점 무거워지기만 합니다.

💻 “은행도, 관공서도, 저를 보지 않아요.”
본인인증은 어렵고,
직원들은 항상 활동지원사에게만 설명합니다.
저는 스스로 민원 보러 온 당사자입니다.

🚕 “부산 장애인콜택시 두리발, 언제 올지 몰라요.”
대기시간 안내 없이 불편한 이동,
안전띠조차 제대로 안 채워주는 일부 기사님들.
이용자 입장에서의 개선이 절실합니다.

김고현님은 말합니다.
🗣️ “개별 장애에 맞는 맞춤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누군가의 연민이나 시혜가 아닌,
당연한 권리로서의 삶을 살고 싶습니다.

🙌 여러분도 함께 들어주세요.
"진짜 국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김고현님의 진심 어린 목소리를👇

🎥 영상 보러가기
🔗 https://youtu.be/KktU-oviSdo?si=xm5Bc8zNRp9ojn9b

#김고현 #장애인권리 #활동지원확대
#부양의무제폐지 #본인인증개선 #두리발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새정부에바란다
#당사자목소리 #진짜국민

🎊 2025 뇌병변 옥토페스타 🎊(WCPD & AAC의 달 기념)10월은 세계 뇌병변장애인의 날(WCPD)과 AAC(보완대체의사소통) 인식의 달!뇌병변장애인의 삶과 권리를 함께 이야기하고 나누는 축제에 초대합니다 💬...
18/09/2025

🎊 2025 뇌병변 옥토페스타 🎊
(WCPD & AAC의 달 기념)

10월은 세계 뇌병변장애인의 날(WCPD)과 AAC(보완대체의사소통) 인식의 달!
뇌병변장애인의 삶과 권리를 함께 이야기하고 나누는 축제에 초대합니다 💬🌏

📅 일시
2025년 10월 24일(금) 오후 1시

📍 장소
여의도 글래드호텔 블룸홀

📚 주요 행사
🕐 13:00 | 북토크
『장애학의 시선』 with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 14:00 | WCPD & AAC 기념식
🏅 복지부장관 표창
🎓 차강석장학사업 장학금 수여

🎶 문화공연
🎵 미라클보이스앙상블
🎤 노래로 물들다

📲 참여 신청
QR코드로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 문의: 070-4334-1813 / 0050
📧 이메일: kshb@kshb.or.kr

✅ 주최
(사)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지원: 보건복지부

#옥토페스타 #뇌병변장애인 #인권축제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AAC 지원 & 차강석 장학사업] 신청 안내! 🎓⠀교육의 기회를 놓친성인 뇌병변장애인을 위한장학금 & AAC 지원 프로그램💬⠀✅ 이런 분이라면 꼭!✔ 경제적 어려움으로 교육 기회가 부족한 분✔ AAC 환경이 필...
17/09/2025

📢 [AAC 지원 & 차강석 장학사업] 신청 안내! 🎓

교육의 기회를 놓친
성인 뇌병변장애인을 위한
장학금 & AAC 지원 프로그램💬

✅ 이런 분이라면 꼭!
✔ 경제적 어려움으로 교육 기회가 부족한 분
✔ AAC 환경이 필요한 분

💡 지금 신청하세요!
장애인의 교육권 보장과
사회참여의 첫걸음, 함께해요.

*신청마감: 2025. 9. 19(금), 18시

📎 자세한 내용은 [협회 홈페이지/http://www.kshb.or.kr/main]

#장학사업 #뇌병변장애인 #차강석장학금 #장애인교육 #인권협회

📍 2025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활동가 워크숍 현장 스케치지난 9월 8일부터 10일까지, 하이서울유스호스텔에서 사무처 및 전국 지역협회 실무 활동가 분들과 함께 2박 3일간의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이번 워크숍은🌱...
12/09/2025

📍 2025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활동가 워크숍 현장 스케치

지난 9월 8일부터 10일까지, 하이서울유스호스텔에서 사무처 및 전국 지역협회 실무 활동가 분들과 함께 2박 3일간의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 코칭 워크숍으로 소통과 성장의 시간을 갖고
📚 장애학 교육을 통해 인권 감수성을 확장하며
🏃‍♂️ 현장활동으로 실천력을 다지는
알찬 프로그램으로 채워졌습니다.

바쁜 일정 속에서도 함께 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앞으로도
장애인 당사자의 인권을 위한 활동에
많은 관심과 따뜻한 응원 부탁드립니다!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워크숍 #장애학 #코칭워크숍 #인권활동 #현장스케치 #감사합니다 #앞으로도함께해요

Address

영등포구 국회대로 76길 33, 중앙보훈회관 607호
Seoul
07241

Opening Hours

Monday 21:00 - 06:00
Tuesday 21:00 - 18:00
Wednesday 21:00 - 18:00
Thursday 09:00 - 18:00
Friday 09:00 - 18:00

Telephone

+82234372081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사)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Practice

Send a message to 사)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Share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LinkedIn
Share on Pinterest Share on Reddit Share via Email
Share on WhatsApp Share on Instagram Share on Telegram